대한민국 공유자원포털 Data.go.kr 사용기 #1 by thinkr

최근에 정부(행정안전부)에서 공유자원포털(http://www.data.go.kr)이라는 서비스를 오픈했다. 이름 그대로 국가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공공정보를 한 곳에서 모두 이용할 수 있게 만들어 놓은 서비스다. 물론 작년에 이미 "공공정보활용지원센터"란 것을 만들어 공공정보의 개방을 시작했지만, 이번엔 그 취지를 조금 더 발전시킨 것이다. 원래 작년 말까지 만들기로 되어 있었던 서비스였는데 아마 이런 저런 이유로 조금 늦어져서 최근에야 오픈한 듯 하다.



평소에 공공정보의 개방에 관심이 많은 터라 오늘 잠깐 시간을 내어 새로 오픈한 서비스를 둘러 보았다. 이 사이트에서는 공공정보를 크게 다음 두 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첫째는 "프로그램 공유자원"이라고 해서 소위 말하는 "오픈 API"나 소프트웨어/컴포넌트가 이 범주에 속한다.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데이터 공유자원"으로 주로 엑셀 파일이나 HWP문서, 이미지 파일, XML 파일 등의 형태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말한다.


프로그램 공유자원은 실제로 거의 99%가 오픈API 이니 오픈API가 전부라고 봐도 무방할 것 같다. 제공되는 오픈 API의 구성은 아래 표와 같다. 


한편 데이터 공유자원의 매체별 유형은 아래 표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프로그램 공유자원과 데이터 공유자원이 실제로 어떤 것들이고 어디에 얼마만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들인지에 대한 분석은 다음 기회로 미루기로 하고 오늘은선 새로 오픈한 서비스 자체의 몇 가지 사용기만 적어보기로 한다. 우선, 보안 접속의 문제다. 신뢰할 수 없는 인증서를 사용하고 있는 탓에 보안 접속이 필요한 메뉴로 들어갈 양이면 항상 다음과 같은 "경고 화면"이 튀어 나오곤 한다. 별로 좋은 경험은 아니었다. 일단 게시판에 고쳐달라고 요청해 놓았다.



새로 오픈한 서비스는 프로그램 공유자원과 데이터 공유자원의 목록을 엑셀 파일 형식으로 제공하고 있다. 목록을 받아서 내게 필요한 서비스가 어떤 것인지를 확인할있으니 편리했다. 그런데 프로그램 공유자원의 경우 파일이 다운로드되지 않았다. 대신 아래와 같은 멋진 그림이 등장한다. 빨리 고쳐주면 좋겠다.


서비스 사용 절차는 작년과 바뀐 게 없는 듯 하다. 역시 서비스 신청을 하면 "해당 부서" 에서 검토한 후에 승인하고 해당부서와 접촉하는 절차를 거쳐야 하는 것 같다. 이게 무슨 Open API 냐? 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어떡하란 말인가? Open API 라고 하는데.



구체적인 서비스는 아직 사용해 보지 못했다. 다만 언뜻 보기에도 눈에 들어오는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이미 기존에 존재하는 웹사이트" 들 속에 있던 내용을 그대로 옮겨 왔다는 것이다. 데이터 공유자원은 이미 다른 사이트에서 공개되어 있는 정보들을 그대로 가져오거나 경로 정보만 링크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보였다. 게다가 대부분의 데이터 정보가 이미 수년 전에 생산되어진 것들로 보였다


프로그램 공유자원의 경우는 이미 기존에 존재하는 웹사이트의 게시판 글을 Open API라고 하여 XML 형태로 긁어올 수 있게 만들어 놓느라 수고한 흔적이 역력했다. 이미 예산은 할당되어 있고 추진 하기로 되어 있는 사업이니 할 수 밖에 없었겠지만, 굳이 웹사이트에 이미 다 공개되어 있는 정보들을, 그것도 수치 데이터도 아니고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들을, 또 다시 XML 형식으로 공개하는 것이 무슨 큰 의미가 있을까도 싶었다. 예를 들어,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보육료 계산 API의 경우는 이미 서울시에서 서비스 중인 보육포털서비스에 들어가서 입력 폼에 필요한 수치를 입력하면 보육료를 계산할 수 있게 되어 있는데, 그걸 API 형태로도 요청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농림부에서 제공하는 농산물 정보들은 이미 기존에 서비스 중인 농식품안전정보서비스의 게시판 목록과 댓글을 불러올 수 있게 API로 만든 것이다. 이런 서비스들이 얼마나 유용할까 싶지만 섣불리 단정하지는 않기로 한다. 결과는 조금 더 지켜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시민들이 바라는 공유자원포털의 형태가 과연 이런 것일까? 하는 생각이 들긴 했지만, 그야 알 수 없는 노릇.


다만 아주 유용하고 요긴하게 쓸 수 있는 데이터도 발견되긴 했다. 서비스 명세서에는 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명세가 자세히 나와 있었다. 시스템의 사양이 어떻고 누가 관리하고 관리자의 이메일 주소와 전화번호는 어떠어떠하다는 내용이었다. 나는 별로 궁금하지 않았지만, 이런 정보가 궁금한 사람들(예를 들어, 해킹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보았다. 참고로 아래 표는 그저 하나를 샘플로 보인 것이다. (명세서 모두가 이 양식으로 작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서비스가 아래 표와 같다고 보면 되고, 특별히 이 기관이나 담당자에게 누를 끼칠 생각은 추어도 없음을 밝힌다)



공유자원포털은 정부가 비싼 돈을 들여 시민들을 위해 개방한 서비스이니 만큼 서비스 대상인 시민들이 많이 써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틈나는 대로 사용해 보고 필요하면 앱이나 웹 서비스에도 적용해 볼 생각이다. 그리고 부족한 부분은 요청하고, 사용 기록들은 여기 블로그에 올려서 다른 사용자들과 함께 공유할 생각이다. 모르긴 해도 힘들게 시작한 서비스일 것이다. 이 서비스가 그저 일회성 서비스로 끝나지 않고 계속 진화하고 발전하는 서비스가 되길 응원한다. 대한민국 정부, 화이팅!

핑백

  • Serendipitous : Data.go.kr 사용기 #2: 프로그램 서비스 2011-08-03 17:51:55 #

    ... 지난 번 블로깅에 이어 두 번째 탐방입니다. 지난 번에는 새로 오픈한 대한민국 공유자원포털 서비스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한번 알아 봤다면, 이번에는 실제로 그 속에 어떤 데이터가 있고, 그 ... more

덧글

  • GreatDG 2011/07/08 00:33 # 삭제

    석준님 글보고 `오!` 이러고선 가입하고 서비스 신청하여 인증키까지 받은후 승인되었다고 나와 URL 테스트 해보니 key error라고만.... 설마 copy & paste를 잘못했으랴.. 하고 테스트 해봐도 gg네요..ㅠ 저도 석준님따라 건의해봐야겠네요..
  • sjoonk 2011/07/26 02:05 #

    넹. 넹. 계속 써보고 또 건의도 하고 하자구요. ^^
※ 이 포스트는 더 이상 덧글을 남길 수 없습니다.



Follow me on Twitter

Follow sjoonk on Twitter